-
2022년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- 엑셀파일 (도급순위)건설 부동산 2022. 7. 29. 19:55
2022년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엑셀파일을 아래에 첨부한다.
2022년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- 엑셀파일 (도급순위).xlsx0.02MB□ ‘22년도 시공능력평가 결과, 토목건축공사업종에서 삼성물산㈜이 21조 9,472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.
ㅇ 2위는 전년과 동일하게 현대건설㈜(12.6조원)이 차지했고, 대림산업㈜에서 건설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설립된 디엘이앤씨㈜(9.9조원)가 전년 8위에서 3위로 상승했다.
연번2022년2021년업체명평가액순위변동업체명평가액1삼성물산(주)219,472-삼성물산(주)225,6402현대건설(주)126,041-현대건설(주)113,7703디엘이앤씨(주)99,588↑5지에스건설(주)99,2864(주)포스코건설96,123-(주)포스코건설95,1575지에스건설(주)95,642↓2(주)대우건설87,2906(주)대우건설92,305↓1현대엔지니어링(주)84,7707현대엔지니어링(주)91,185↓1롯데건설(주)67,8508롯데건설(주)72,954↓1디엘이앤씨(주)64,9929SK에코플랜트(주)53,560↑1HDC현대산업개발(주)56,10310HDC현대산업개발(주)49,160↓1SK에코플랜트(주)49,16211(주)호반건설35,626↑2(주)한화건설34,16512디엘건설(주)34,723-디엘건설(주)32,49213(주)한화건설34,473↓2(주)호반건설31,48314대방건설(주)30,643↑1(주)태영건설26,47815금호건설(주)25,529↑7대방건설(주)24,86316코오롱글로벌(주)24,119-코오롱글로벌(주)20,76617(주)태영건설23,446↓3중흥토건(주)20,58518중흥토건(주)22,934↓1계룡건설산업(주)20,24419계룡건설산업(주)22,909↓1삼성엔지니어링(주)19,45520제일건설(주)22,843↑4한신공영(주)19,28421(주)서희건설22,746↑2동부건설(주)19,17222두산에너빌리티(주)20,141↑29금호건설(주)18,27523동부건설(주)17,973↓2(주)서희건설18,17424두산건설(주)17,951↑4제일건설(주)16,42525한신공영(주)16,830↓5우미건설(주)15,40826삼성엔지니어링(주)16,796↓7(주)동원개발15,15627(주)케이씨씨건설15,547↑5(주)부영주택14,93028(주)동원개발15,457↓2두산건설(주)14,90929우미건설(주)15,419↓4(주)한라14,86130(주)호반산업15,074↑5쌍용건설(주)14,81931(주)한라14,788↓2(주)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14,11632(주)반도건설14,613↑2(주)케이씨씨건설14,10833쌍용건설(주)14,499↓3효성중공업(주)13,90934신세계건설(주)14,297↑3(주)반도건설12,64235(주)부영주택14,222↓8(주)호반산업12,54936(주)금강주택12,765-(주)금강주택12,50237아이에스동서(주)12,529↑4신세계건설(주)12,38538효성중공업(주)12,525↓5(주)한양11,66939에스지씨이테크건설(주)11,900↑6엘티삼보(주)11,38840엘티삼보(주)11,830↓1중흥건설(주)11,30241(주)에이치제이중공업10,735↑2아이에스동서(주)11,14342화성산업(주)10,167↑2양우건설(주)10,24243양우건설(주)10,018↓1(주)한진중공업10,02444(주)한양9,690↓6화성산업(주)9,46245(주)라인건설9,566↑5에스지씨이테크건설(주)9,41946(주)금성백조주택9,512↑1씨제이대한통운(주)9,06147(주)서한9,352↑1(주)금성백조주택8,81148중흥건설(주)9,151↓8(주)서한8,25749(주)동양건설산업8,924↑5대보건설(주)8,25650씨제이대한통운(주)8,319↓4(주)라인건설7,76951(주)대광건영8,139↑7두산중공업(주)7,35552진흥기업(주)7,541↑4보광종합건설(주)7,25853에이스건설(주)7,431↑4신동아건설(주)6,87754대보건설(주)7,390↓5(주)동양건설산업6,67455보광종합건설(주)7,166↓3경동건설(주)6,53456신동아건설(주)6,296↓3진흥기업(주)6,43957(주)시티건설6,105↑2에이스건설(주)6,26058(주)우방6,021↑2(주)대광건영6,19959(주)성도이엔지5,509↑9(주)시티건설5,95760(주)케이알산업5,375↑1(주)우방5,73761동원건설산업(주)5,299↑2(주)케이알산업5,24362경동건설(주)5,276-7(주)유승종합건설4,98963(주)대원5,251↑14동원건설산업(주)4,88664남광토건(주)4,953↑9일성건설(주)4,56165일성건설(주)4,901↓1(주)보미건설4,50466극동건설(주)4,838-극동건설(주)4,34867(주)유승종합건설4,550↓5삼부토건(주)4,28768(주)라인산업4,306↑38(주)성도이엔지4,28369경남기업(주)4,249↑6(주)협성건설4,10570삼부토건(주)4,223↓3(주)신안3,96371주식회사 보미건설4,163↓6(주)삼정기업3,89672(주)태왕이앤씨4,137-(주)태왕이앤씨3,82873디에스종합건설(주)4,025↑23남광토건(주)3,81674(주)우미개발3,961↑39요진건설산업(주)3,78175대우산업개발(주)3,955↑8경남기업(주)3,72576동문건설(주)3,928↑11(주)서해종합건설3,64577요진건설산업(주)3,814↓3(주)대원3,63578(주)삼정기업3,800↓7(주)선경이엔씨3,59579계성건설(주)3,794↑15한림건설(주)3,56780(주)원건설3,756↑12(주)힘찬건설3,49681혜림건설(주)3,598↑21(주)협성종합건업3,47582(주)협성종합건업3,537↓1대우조선해양건설(주)3,40783대우조선해양건설(주)3,514↓1대우산업개발(주)3,33084(주)소노인터내셔널3,498↑17동서건설(주)3,31685파인건설(주)3,457↑4삼환기업(주)3,26186삼환기업(주)3,449↓1(주)삼정3,25287(주)모아종합건설3,441↑11동문건설(주)3,19488강산건설(주)3,396↑7(주)흥화3,16689(주)우남건설3,388↑53파인건설(주)3,11590대상건설(주)3,378↓6금광기업(주)3,09891자이에스앤디(주)3,363↑120(주)대저건설3,05092(주)금성백조건설3,363↑32(주)원건설3,03793동아건설산업(주)3,306-동아건설산업(주)3,03094이수건설(주)3,263↑22계성건설(주)3,01595(주)선경이엔씨3,068↓17강산건설(주)3,00996(주)동일스위트3,062↑8디에스종합건설(주)2,99997금광기업(주)3,061↓7대양종합건설(주)2,94798(주)흥화3,035↓10(주)모아종합건설2,94399(주)협성건설3,016↓30(주)유탑건설2,885100(주)화성개발3,015↑12(주)영무토건2,883□ 종합건설업의 업종별 공사실적(‘21년) 주요 순위를 살펴보면,
ㅇ 토목건축 분야는 현대건설이 7조 9,254억원, 삼성물산이 7조 5,208억원, 대우건설이 6조 5,348억원을,
ㅇ 토목 분야는 현대건설이 1조 4,164억원, 대우건설이 1조 3,080억원, SK에코플랜트가 1조 2,485억원을,
ㅇ 건축 분야는 현대건설이 6조 5,089억원, 삼성물산이 6조 4,883억원, 대우건설이 5조 2,268억원을,
ㅇ 산업ㆍ환경설비 분야는 삼성엔지니어링이 7조 2,918억원, 삼성물산이 3조 3,420억원, 두산에너빌리티가 2조 2,808억원을,
ㅇ 조경 분야는 삼성물산이 543억원, 에스케이임업이 538억원, 제일건설이 509억원을 기록하였다.
□ 종합건설업의 주요 공사종류별 공사실적(‘21년) 주요 순위를 살펴보면,
ㅇ 토목공종 중에서 ‘도로’는 디엘이앤씨(5,048억원)ㆍ지에스건설(5,016억원)ㆍSK에코플랜트(4,838억원), ‘댐’은 삼성물산(1,964억원)ㆍSK에코플랜트(884원)ㆍ포스코건설(352억원), ‘지하철’은 지에스건설(2,859억원)ㆍ삼성물산(2,746억원)ㆍ현대건설(1,697억원)순이며,
- ‘상수도’는 태영건설(579억원)ㆍ코오롱글로벌(553억원)ㆍ삼성엔지니어링(535억원), ‘택지용지조성’은 SK에코플랜트(3,654억원)ㆍ대광건영(1,855억원)ㆍ대우건설(1,593억원) 순이다.
ㅇ 건축공종 중에서 ‘아파트’는 지에스건설(4조 5,202억원)․대우건설(4조 4,006억원)․현대건설(3조 5,725억원) 순이고, ‘업무시설‘은 현대건설(1조 1,865억원)․현대엔지니어링(9,048억원)․삼성물산(6,652억원),
’광공업용 건물’은 삼성물산(4조 3,117억원)․SK에코플랜트(2조 2,429억원)․현대건설(6,493억원) 순이다.
ㅇ 산업ㆍ환경설비공종 중에서는 ‘산업생산시설’은 지에스건설(1조 2,314억원)ㆍ현대건설(1조 2,277억원)ㆍ현대엔지니어링(9,454억원), ‘화력발전소’는 삼성물산(2조 7,204억원)ㆍ두산에너빌리티(2조 1,138억원)ㆍ포스코건설(4,430억원), ‘에너지저장ㆍ공급시설‘은 대우건설(3,471억원)ㆍ삼성물산(2,970억원)ㆍ포스코건설(2,810억 원) 순이다.
□ 금번 ‘시공능력평가’ 결과는 8.1일부터 적용되며, 발주자는 평가액을 기준으로 입찰제한을 할 수 있고, 조달청의 유자격자명부제*, 도급하한제** 등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.
'22년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공시
총 75,677개사 대상 평가… 삼성물산·현대건설에 이어 디엘이앤씨 3위
8월 1일부터 평가액 기준으로 입찰제한, 수주제한 등의 근거로 활용
<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사(토목건축공사업) >
(단위: 조원)